교회사적의의 |
18세기말 천주교의 수용 이후 조선왕조는 척사위정(斥邪衛正)이라는 유교적 이념에 근거하여 천주교를 사학(邪學)으로 몰아 탄압했고 박해를 전후해서 법적 효력을 갖는 척사윤음을 반포했는데, 척사윤음은 1801, 1839, 1866, 1881년 등 모두 네 번에 걸쳐 반포되었다. 1802년 1월 25일(음 1801년 12월 22일) 반포된 <신유척사윤음>(辛酉斥邪綸音)은 대제학(大提學) 이만수(李晩秀)가 지은 것으로 `토역반교문'(討逆頒敎文)이라는 제목이 붙어 있고, 내용은 유교의 근본이념과 신유박해의 상황 및 결과가 약술되어 있다. 1839년 12월 16일(음 10월 18일) 반포된 <기해척사윤음>(己亥斥邪綸音)은 기해박해를 마무리하기 위해 검교제학(檢校提學) 조인영(趙寅永)이 지은 것으로 태조(太祖) 이후 역대 임금들의 교서?교훈?격언 등을 근거로 척사위정(斥邪衛正)을 토론하고 있다. 또한 1866년 9월 12일(음 8월 3일) 반포된 <병인척사윤음>(丙寅斥邪綸音)은 병인박해와 제너럴 셔먼호(號)사건으로 인해 내려진 것으로 예문제학(藝文提學) 신석희(申錫熙)가 지었으며, 역시 척사위정의 내용을 담고 있다. 마지막으로 1881년 8월 7일(음 7월 10일)반포된 <신사척사윤음>(辛巳斥邪綸音)은 천주교와 서양세력을 배척하는 전국 유생(儒生)들의 격렬한 상소(上疏) 때문에 내려진 것으로 여기에는 한문으로 된 원문 뒤에 한글 해석이 첨부되어 있다. |
비고 |
<참고>
척사위정론
유교(儒敎)에서 사도(邪道)를 물리치고 정도(定道)를 옹호하는 이론을 말하는데 이 말은 척사론(斥邪論), 척위론(斥衛論), 벽사위정론 (闢邪衛正論), 벽위론(闢衛論), 벽사론(闢邪論), 벽이단론(闢異端論) 등의 용어와 같은 의미로 쓰인다. 척사위정은 유교의 행동규범 속에서 진리를 옹호하고 사악함을 배척함으로써, 또 사상적으로는 반(反)유교적 사상들을 이단으로 배척하고 타파함으로써 진리 곧 유교를 수호한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척사위정은 유교이념의 실현을 위한 사상적 체계이지만 유교를 지배이념으로 하던 봉건시대에 있어서 동양의 여러 나라들은 사회와 지배이념 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강력한 수단으로 활용되어 때로는 사상적 자유를 억압하고 고착된 규범체계에 순종만을 강요하는 부정적 기능으로 전락하기도 하였다. 역사적으로 유교이념과 유교사를 통해서 볼 때 척사위정의 이념적 출발은 중국 요?순(堯舜)시대에서 시작되어 공자(孔子)와 맹자(孟子), 당대(唐代)의 한유(韓愈)를 거쳐 송대(宋代) 주자(朱子)의 《변이단류》(辨異湍類)에서 이념적 체계가 확립되고 명대(明代)에 이르러서는 주자학과 양명학(陽明學) 두 학파의 대립에서 정통성 논쟁에 대한 척사위정론이 발생하며 그 뒤 17∼19세기까지 그리스도교와 서양사상에 대한 척사위정론이 대두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말 주자학이 도입되고 조선왕조가 유교를 지배이념으로 하여 창건되면서 벽불숭유(闢佛崇儒)의 척사위정론이 발생했고, 이어 18세기말 천주교가 수용된 후 일부 지식인들 사이에서 서구과학기술을 수용하여 타락한 지배체제를 개혁하려는 실학운동과 천주교를 신앙하는 서학운동이 발생하자 천주교와 서양을 배척하는 척사위정론이 발생했는데, 19세기말에 이르러 척사위정론은 서구열강과 일본의 침략 위협 속에서 수구파(守舊派)의 이념적 배경이 되어 민족의식의 발생을 자극하는 한편 한일합방을 전후해서 일어난 유생(儒生)들의 항일무장운동에 영향을 주었다. 조선시대 천주교 배척의 척사위정론은 17세기 이익(李瀷)의 《천주실의발》(天主實義跋)에서 처음 보이는데, 여기서 이익은 천주교 교리에 대한 비판 끝에 천주교는 사람들을 미혹에 빠지게 하는 종교라고 배척하고 있다. 이외에 17∼18세기의 문헌으로 안정복(安鼎福)의 《천학문답》(天學問答), 신후담(愼後聃)의 《서학변》(西學辨), 이헌경(李獻慶)의 《천학문답》(天學問答), 홍정하(洪正河)의 《증의요지》(證義要旨) 등에서도 천주교 교리에 대한 유교적 비판 내용이 담긴 척사위정론이 전개되어 있다. 그러나 19세기 이항로(李恒老)의 《벽사록변》 (闢邪錄辨), 이정관(李正觀)의 《벽사변정》(闢邪辨正), 김치진(金致辰)의 《척사론》(斥邪論), 김평묵(金平默)의 《벽사록변》 (闢邪錄), 황필수(黃必秀)의 《척사설》(斥邪說) 등의 척사위정론들은 학문적 비판이라기보다는 서양세력에 대한 배척적 증오감에 우러난 것이며 이 때문에 이후의 척사위정론은 편협한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다. 한편 이러한 척사위정론을 근거로 조선시대에는 1801, 1839, 1866, 1881년 네 번에 걸쳐 척사윤음(斥邪綸音)이 반포되었는데, 이는 곧 천주교 탄압의 법적 근거가 되었다. 결국 조선시대의 천주교 박해는 척사위정론을 사상적 근거로, 또 척사윤음을 법적 근거로 해서 이루어졌고, 이로 인해 수많은 천주교인들이 처형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