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례박물관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관련 소장 유물

  1. 시신을 담았던 관 이미지
    01

    시신을 담았던 관

    1901년 5월 김대건 신부의 시신을 미리내에서 용산의 예수성심신학교로 이장하면서 사용했던 관. 1994년 2월 24일까지 김대건 신부의 유래를 담아 보관하는데 사용되었다.

  2. 봉인 이미지
    02

    봉인

    1901년 김대건 신부의 유해를 이장하면서 유골을 싸고 유해의 부분 명칭을 붙인 후 봉인을 찍어 풀지 못하도록 한 것이다.

  3. 묘비 이미지
    03

    묘비

    김대건 신부의 유해가 용산으로 옮겨진 후 약 8개월 후인 1902년 8월 23일에 제8대 조선 교구장인 뮈텔주교와 신학교 교장인 기낭 신부가 성당에 모셔진 성인의 유해를 더 공고히 하는 작업을 한 후 영구적으로 봉인하기 위해 유해 위에 덮었던 대리석판이다. 윗쪽의 PX는 예수 그리스도를 상징하며, 아래의 숫자는 김대건 신부의 생몰 연도이다. 그리고 AK는 ‘안드레아 김대건’의 라틴어 첫단어만을 적어 놓은 것이다. 이 대리석판은 1994년 2월 24일 새로운 형태의 것으로 대체되었다.

  4. 유해 안치 석관 이미지
    04

    유해 안치 석관

    서울 포교 성 베네딕도 수녀회 강 마티아 수녀에 의해 설계․제작된 석관으로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성당의 제대 우측에 설치되어 있다.

  5. 교황께 올리는 서한 이미지
    05

    교황께 올리는 서한

  6.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초상 (장발 作) 이미지
    06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초상 (장발 作)

  7.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초상 이미지
    07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초상

  8.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석상 이미지
    08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석상

    절두산 성지에 세워져 있던 김대건 신부 석상으로 신학교로 이전하였다. 1973. 5. 13일 성소주일 야외미사 후에 김수환 추기경 집전으로 제막식을 거행하였다.

  9.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부조 (조숙의 作) 이미지
    09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부조 (조숙의 作)

    가톨릭대학교 개교 150주년 및 성 김대건 신부 사제서품 16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2005년도에 제작 및 축성되었다. 재료는 Bronze 원본 크기는 105×158cm의 부조이다. 작품 속에서 김대건 신부는 참수형을 당한 자신의 십자가를 끌어안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되고 있다. 현대 한국 교회에서 많은 사제를 배출할 수 있었던 것이 바로 김 신부의 희생 덕분이라는 것을 작품을 통해 드러내고 싶었던 작가의 의도이다. 김 신부가 입고 있는 옷의 주름은 우리들이 걷고 있는 신앙의 발걸음에 함께하시는 살아계신 성령을 뒤 벽의 형틀 이미지는 죽음을 상징한다.

  10. Pro Corea documenta (朝膳聖教史料) 이미지
    10

    Pro Corea documenta (朝膳聖教史料)

    한국 천주교회사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갖고 프랑스의 각 도서관과 한국 내의 천주교회사 관련 자료를 수집 연구하던 파리외방전교회의 Leon Pichon 신부의 저서로 1938년에 출판되었다. 성 김대건 신부의 서한 16통과 김대건 신부의 연보 · 전기 등을 수록하였다.

  11. 首先鐸德 金大建 이미지
    11

    首先鐸德 金大建

    1942년 명동본당에서 출판된 김대건 신부의 전기로 저자는 유영근 신부이고 Larribeau 주교가 감준하였다. 발행 당시 일제의 탄압으로 일본인 구로까와(黑川 米尾) 신부를 편집 겸 발행인으로 해서 발행하였다.

  12. Epistolae Beati Andreae Kim 이미지
    12

    Epistolae Beati Andreae Kim

    김대건 신부의 편지 모음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