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소장구분 | 전례박물관 | 정리번호 | 030105C205 |
---|---|---|---|
부문 | 유물 | 교구/소속 | 서울대교구 |
관리/소장처 | 가톨릭 문화시설 | 종별 | 의류 |
필수항목
명칭(한글) | 금색 JHS문자수 어깨보 | 명칭(영문) | humerale |
---|---|---|---|
장르 | 의류 | 등록번호 | 700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광복이후~1960년대 |
용도 | 기능 | ||
수량1 | 1 01 | 재질1 | 사직 |
수량2 | 재질2 | ||
수량3 | 재질3 |
높이(세로) | (cm) | 길이(가로) | 50.5 (cm) | 너비(폭) | 260 (cm) |
---|---|---|---|---|---|
깊이 | (cm) | 지름 | (cm) | 기타 | (cm) |
문화재지정 | 구분 | 호수 | 일자 |
특징 | 금색 사직으로 제작되었음/ 안감은 홍색임/ 등판 중앙에 후광이 있는 그리스식 십자가의 응용형을 금색 실로 수놓았음/ 십자가의 교차점에 IHS 문자를 수놓았음/ 끝단 부분에 술을 부착했음/ |
---|
분류
정의 | 성체강복과 성체를 옮길 때 사용하는 제의의 일종. |
---|---|
유래 및 발달과정/역사 | 축제때 목도리를 두르고 다니던 것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현재는 성체강복과 성체를 옮길 때 사용되고 있다. 성체강복이란 성체께 대한 신심의 표현으로 성체를 현시(顯示)하여 신자들이 조배(朝拜)하게 하고 사제가 성체로서 강복해 주는 일종의 준성사이다. 전통적으로 사제는 장백의나 중백의를 입고 영대를 두른 후 깝바를 어깨에 걸친다. 성체를 성광(聖光)에 모셔 제대 위에 놓고 향을 피운다. 이 때 찬미가가 불려지고 조배와 묵상이 뒤따른다. 두 번째로 향을 피우면서 사제는 어깨보로 두 손을 감싸고 성광을 높이 들어 십자가 형태로 신자들에게 강복을 주게 된다. |
일반적 형태 | 일반적으로 폭이 넉넉하고 어깨에 걸치기 좋을 정도의 크기로 만들어진다. 제의와 같은 색의 사직으로 제작된다. 어깨에 걸쳤을 때 등 중앙에 오게 되는 부분을 그리스도의 상징 문양으로 장식한다. 끝단부분에 술을 달기도 한다. 본 수장품은 금색 사직으로 제작되었다. 안감은 홍색이다. 등판 중앙에 후광이 있는 그리스식 십자가의 응용형을 금색 실로 수놓았다. 십자가의 교차점에 IHS 문자를 수놓았다. IHS는 예수를 상징하는 표시이며, IHC, JHS, JHC로 사용할 수도 있다. 십자가의 종단과 횡단 끝부분은 붓꽃문양으로 장식되어 있다. 끝단 부분에 술을 부착했다. |
교회사적의의 | |
참고자료 | 『한국가톨릭대사전(구)』, 한국가톨릭대사전편찬위원회, 한국교회사연구소, 1985. 『한국가톨릭용어큰사전』, 허종진, 한국그리스도교언어연구소, 1994. 『그리스도교의 상징들』, 김종익, 가톨릭출판사, 2001. |
비고 | |
소장처 주소 및 정보 | 110-758 서울특별시 종로구 혜화동 90-1 가톨릭대학교 성신교정 성신관 예약 관람 TEL (02)740-9707~8 |
유물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