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앙인을 위한 철학 Philosophy - 신앙의 내용을 어떻게 철학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가- What every catholic should know
- 저자 :
- 피터 크리프트 Peter John Kreeft
- 역자 :
- 김형수
- 규격 :
- 신국판(145*220)
- 출판일 :
- 2025.06.29
- 정가 :
- 23,000 원
- ISBN :
- 978-89-7108-397-0(03100)
- 키워드 :
- 철학 신 인간 악 행복 신앙인 신앙 그리스도인 이성
소개
이 책에서는 종교를 믿는 사람들이 왜 철학에 대해 어느 정도 알아야만 하는지를 다루기에 대부분의 전제를 종교적 신앙보다는 철학적 이성에 호소하여 제시했고, 철학의 각 분과에서 논란이 되는 관념들을 연대순이 아닌 주제별로 정리했다. 신학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철학의 내용과 개념을 이해해야 한다는 옮긴이의 말처럼, 이 책은 72개의 철학적 물음들을 제기하고 신학적인 내용과 믿음의 내용을 어떻게 이성적으로 이해해야 되는가를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고(故) 김형수 베드로 신부의 유작(遺作)이 되어 버린 이 번역서가, 철학은 단순한 앎이 아니라 삶이기를 원했던 그의 소망 대로, 믿음을 이성으로 이해해서 더 깊은 믿음으로 향하는 발판이 되기를 바란다. “ 철학이란 도대체 무엇일까? 객관적 진리가 과연 존재할까? 자기 인식은 어떻게 가능한가? 인간은 자연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을까? 인간의 이성으로 신을 알 수 있을까? 신은 존재하는가? 그렇다면 왜 악이 있을까? 행복이란 무엇이고 우리는 그것을 어떻게 얻을 수 있을까? ” 이 질문 중 하나라도 궁금해한 적이 있는 이라면, 이 책이 바로 당신을 위한 책일 것입니다. 오늘날 저명한 철학자 중 한 사람인 피터 크리프트는 이 책에서 일흔두 가지 철학적 물음들을 제기하고 이를 알기 쉽게 설명하면서 당신의 궁금증을 풀어 줍니다. 이 책은 신앙과 이성이 충돌하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신앙인들에게 꼭 필요한 책입니다. 그리스도인이라면 신앙과 관련한 철학 책 한 권쯤은 읽고 간직해야 할 것입니다. 이 책이 바로 그 한 권입니다. <목 차> 옮긴이 故김형수를 그리면서 서 문 I. 인식론 1. 철학이란 무엇인가? 2. 철학은 무엇에 좋은가? 3. 철학을 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인가? 4. 철학은 어디서 시작해야 하는가? 5. 객관적인 진리는 존재하는가? 6. 우리는 그저 이성을 믿어야 하는가, 아니면 이성이 신뢰할 만하다는 것을 이성을 통해 입증할 수 있는가? 7. 철학적 이성과 종교적 신앙은 본래 적대관계인가, 아니면 동맹인가? 8. 진리에 대한 인식은 그 자체로 목적인가? 9. 인간의 앎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10. 자기 인식은 어떻게 가능한가? 11. 이성을 초월하는 어떤 지식이 존재하는가? 12. 인간의 이성으로 신을 알 수 있는가? II. 형이상학 13. 존재란 무엇인가? 14. 존재는 하나인가, 여럿인가? 15. 보편적인 것은 실재하는 것인가? 16. 본질은 실재하는 것인가? 17. 실체는 실재하는 것인가? 18. 범주는 실재하는 것인가? 19. 정신은 실재하는 것인가? 20. 변화는 자기모순적인가? 어떻게 같은 것이 달라질 수 있는가? 21. 실재하는 것은 서로 정도가 다른가? 22. 형이상학과 윤리학은 어떤 관련이 있는가? III. 특수 형이상학―우주론 23. 인간은 자연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24. 인과관계는 실재하는 것인가? 25. 네 가지 종류의 원인은 존재하는가? 26. 목적적 원인(목적론)은 실재하는 것인가? 27. 시간은 실재하는 것인가? 28. 위계는 실재하는 것인가? 29. 진화는 실재하는 것인가? 30. 시간 여행은 가능한가? 31. 자연의 일관된 형태를 어떻게 입증할 수 있는가? 32. 우주는 생각과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실재하는가? IV. 특수 형이상학―신 33. 신은 실재하는 것인가? 34. 신은 무엇인가? 신은 누구인가? 35. 우리는 신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36. 신이 존재한다면, 왜 악이 있는가? 37. 신과 시간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38. 자유의지와 신의 섭리는 조화될 수 있는가? 39. 신은 무로부터 어떤 것을 창조할 수 있는가? 40. 신은 논리를 초월하는가? 41. 삼위일체 개념은 자기모순적인가? 42. 왜 유신론이 범신론이나 이신론보다 더 이성적인가? V. 철학적 인간학 43. 영혼은 무엇인가? 44. 지성과 의지 중 무엇이 우선적인가? 45. 우리에게 자유의지가 있는가? 46. 감정의 역할은 무엇인가? 47. 성, 결혼, 가정의 의미와 중요성은 무엇인가? 48. 인류는 선한가, 악한가? 49. 우리를 악하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50. 행복은 무엇이며, 우리는 행복을 어떻게 얻을 수 있는가? 51. 영혼은 불멸하는가? 52. 죽음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 VI. 일반 윤리학 53. 윤리학은 종교에 의존하는가? 형이상학에, 인간의 철학에 의존하는가? 54. 가장 중요한 윤리적 덕은 무엇인가? 55. 도덕성은 객관적이고 발견되는 것인가, 아니면 주관적이고 고안되는 것인가? 56. 천부적이고 양도할 수 없는 권리가 있는가? 57. 각각의 인격은 본질적인 목적인가? 58.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하는가? (공리주의) 59. 인간의 행위를 윤리적으로 선하거나 악하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60. 덕은 인간을 행복하게 만드는가? 61. 양심은 무엇인가? 62. 모든 윤리적 규칙에는 예외가 없는가? VII. 사회 윤리와 정치 윤리 63. 국가는 자연적인 것인가 인공적인 것(“사회 계약”)인가? 64. 이상적인 국가는 무엇인가? 65. 국가는 인간과 인간의 삶에 대한 공적이고 대중적인 철학을 필요로 하는가? 66. 교회와 국가는 분리되어야 하는가? 67. 민주주의는 본질적으로 최상의 정부 형태인가? 68. 자유는 본질적으로 선한 것인가? 69. “보수주의자”와 “자유주의자”는 왜 존재하는가? 70. 연대성과 보조성, 공동선과 개인의 선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 71. 처벌의 목적은 무엇인가? 72. 전쟁은 항상 정당한가? 부록: 기타 철학적 물음들 학문적이지 않은 후기 옮긴이의 말 편집 후기